강아지 심장 사상충 원인과 예방법 알아보기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기본적으로 구비해둬야 하는 예방약 중 하나가 심장 사상충 약입니다. ‘심장사상충’이란 모기를 매개체로 강아지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기생충입니다. 실처럼 생긴 것이 특징이며 강아지의 심장 주변에 기생합니다. 

강아지 심장 사상충

심장사상충에 감염된 강아지를 모기가 물면 혈액 속의 유충이 모기한테 들어가 자라고, 그 모기가 다른 강아지를 물었을 때 전염이 됩니다. 보통 모기한테 잘 옮기 때문에 여름, 가을철을 주의해야 합니다. 

강아지 체내에서 성장한 유충은 폐동맥 및 심장까지 이동합니다. 특히, 암컷 유충일 경우 약 30cm까지 자랍니다. 심장사상충증은 심하면 강아지를 사망에 이르게 하며, 치료가 되더라도 후유증을 유발하는 위

강아지 심장사상충 증상

강아지 심장 사상충 2

심장사상충 유충을 지닌 모기에 물린다고 곧바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6-7개월 후 증상을 보입니다. 
모기에 물린 후 유충이 자라서 폐동맥까지 이동하려면 수개월이 걸리기 때문에 증상이 없다고 해서 안심해선 안 됩니다.

심하지 않은 경우 예후가 나쁜 편은 아니지만, 제때 치료를 받지 않으면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적시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치명도가 매우 높아집니다.

심장 사상충 증상

· 1기: 별다른 증상이 없습니다. 
· 2기: 기침, 활동량 감소합니다. 
· 3기: 체력 저하, 활동 거의 불가, 호흡 곤란,  우측 심부전으로 배에 물이 차서 배가 불룩해집니다.
· 4기: 많은 사상충이 우심방과 대정맥까지 퍼지는 카발신드롬 발생하며, 간과 신장이 심각하게 손상됩니다. 기절, 보행 불가, 청색증, 쇼크사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심장 사상충 감염경로

강아지 심장 사상충 3

· 모기에 물려서 전염성 있는 사상충에 감염됩니다. 
· 감염 후 사상충이 폐혈관 및 심장까지 이동하며 약 6개월이 소요됩니다.
· 심장 및 폐 내에서 성장 (약 12인치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 체내 사상충은 또다시 자충 (마이크로필라리아; 필라리아의 유충)을 생산합니다. 

심장 사상충 치료법

· 심장사상충 투약치료는 심장에 무리가 많이 가기 때문에 컨디션 안정화를 위한 처치를 선행합니다. 
· 사상충을 죽이기 위한 주사제 투여(투약횟수는 단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주사제 투약 시 병원에 입원하여 부작용 및 신체 컨디션에 대해 모니터링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 진행 단계가 4기(카발신드롬)인 경우, 심장사상충을 직접 제거하는 외과적 수술 후 주사제 치료를 진행합니다.  

심장 사상충 예방법

강아지 심장 사상충 4

정기적으로 예방약을 투약해야 합니다. 먹이는 약과 바르는 약 두 종류가 있습니다. 예방약을 통해 100% 예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키트검사를 진행합니다. 

예방약은 1개월마다 1번씩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모기 출몰 전후로 1개월은 먹여야 합니다. 또 겨울철에도 예방약을 먹여야 합니다. 실내견이 실외견보다 감염 가능성이 낮지만 심장사상충은 집 안에 있을 때나, 산책할 때 충분히 옮을 수 있는 전염병이기 때문입니다. 치료 과정이 매우 힘들고 후유증이 남기 때문에,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심장 사상충 사후 관리

· 절대안정이 필요합니다. 
· 울혈성심부전에서 회복 중에 있는 경우 나트륨 제한 식단을 권장합니다.
· 치료가 끝난 후 6개월 뒤 재검사를 실시합니다.
· 심장사상충 완치 후에도, 재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히 예방해야 합니다. 


[3줄 요약]

1.  ‘심장사상충’이란 모기를 매개체로 강아지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기생충임.

2. ‘심장사상충증’은 강아지를 사망에 이르게 하며, 치료가 되더라도 후유증을 유발함.
3. 보편적인 예방법은 예방약 급여이고, 1달에 1번씩 예방약을 먹이는 것이 좋음. 

다른 사람이 본 이야기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