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값 13년 만에 오른다… 라면값 인상에 분노한 소비자단체협의회

라면 값 13년 만에 오른다… 이에 반발한 한국 소비자단체협의회

라면값 인상

서민음식으로 자리 잡은 ‘라면’ 이제 라면 가격이 오른다고 합니다. 오뚜기는 소비자의 반발이 예상되는 가운데 인상을 강행했고, 다른 기업들도 라면값을 올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생활필수품 성격의 라면 가격 농심과 삼양 등 다른 기업까지 가격 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밀가루 가격 인상으로 라면값 인상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라면 값 인상과 그 이유


·가격 인상

라면값 인상 2


오뚜기가 8월 1일부로 진라면 등 주요 라면 가격을 평균 11.9% 인상합니다. 2008년 4월 이후 13년 4개월 만에 인상입니다.

진라면(순한맛/매운맛)은 684원에서 770원으로 12.6%, 스낵면은 606원에서 676원으로 11.6%, 육개장(용기면) 838원에서 911원으로 8.7% 인상됩니다. 

오뚜기는 라면이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해 설비 자동화, 원료 및 포장재 등의 원가 절감, 유틸리티 비용 절감 등 제품 가격 인상 억제를 위한 자체적인 노력을 전개해 왔습니다. 13년간 라면 가격을 동결했으나 최근 밀가루, 팜유와 같은 식품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불가피하게 인상을 결정하게 됐습니다. 

이번 가격 인상에 대해 오뚜기 관계자는 “단순히 원가 개선 목적만이 아닌, 설비 투자 및 인원 충원 등을 통해 보다 좋은 품질개발과 생산으로 인류 식생활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인상이유

라면값 인상 3


라면의 주원료는 면을 만드는 데 필요한 소맥분(밀가루)과 이를 튀기는 팜유입니다. 라면시장 동향을 분석한 대신증권 보고서를 보면 지난 5월 기준으로 소맥과 팜유 평균 가격은 각각 전년 같은 달 보다 27%, 71% 상승했습니다. 원재료인 소맥과 팜유 가격이 오르면서 원가 부담이 심해진 게 인상 배경으로 작용했습니다. 

27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대한제분과 CJ제일제당, 삼양사 등 주요 밀가루 제조사는 최근 농심과 오뚜기를 포함한 주요 고객사에게 밀가루 공급 가격을 올릴 것이라고 알렸습니다. 밀가루 가격은 제조사와 고객사가 합의해서 결정하기 때문에 아직 인상을 이뤄지진 않았습니다. 이르면 내달부터 최대 10% 안팎까지 올리는 내용을 두고 협의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소비자단체 “라면값 인상 철회하라”


오뚜기가 주요 라면 가격을 인상하기로 결정하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인상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22일 협의회는 성명서에서 “오뚜기의 가격 인상이 다른 라면 제조업체들의 연쇄적 가격 인상의 신호탄이 될 수 있어 우려된다”며 이미 케첩, 카레 등에서 시장지배적 사업자인 오뚜기는 서민의 대표 식품을 제조하는 기업답게 사회적 책임을 지고 이번 가격 인상을 재검토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협의회는 소비자교육중앙회, 한국여성소비자연합, 한국소비자연맹 등 11개 소비단체로 구성된 협의체입니다. 

협의회는 소맥분과 팜유의 수입가격이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장기 시계열에서는 하락 추세를 나타낸 점을 들어 가격 인상 근거가 약하다고 했습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소맥분 수입가격은 지난해 kg당 326.3원으로 2012년에 비해서 18% 하락했고, 가격이 가장 비쌌던 2013년보다는 22%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팜유의 지난해 평균 수입가격은 kg당 813원으로 전년보다 26.8% 올랐지만 2012년(1163.3원)보다는 30.1% 낮다고 지적했습니다. 

매출원가와 인건비 부담에 대해 반박했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집밥 등 가공식품 소비량의 증가로 2019년 대비 2020년의 매출액은 9.3% 증가, 영업이익은 23.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은 6.7%로 최근 9년 중 가장 높았습니다. 반면 매출원가율은 2021년 1분기를 제외하면 최근 3년간 평균 78~79%대로 보합세를 나타났습니다.

협의회는 “영업 규모 증가와 함께 인건비 금액이 늘고 있지만 충분한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회사 입장에서 원가 압박의 요인이라고 보기 어렵다. 인건비가 비용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도 아니어서 이번 가격 인상이 인건비 상승 때문이란 업체의 근거는 미약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사회적 책임을 등한시하고 가격 인상이라는 손쉬운 수단을 통해 기업의 이윤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는 기업들의 행위를 규탄하고 저지하며 소비자운동으로 이어나갈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세줄요약
1. 원재료의 가격 상승으로 오뚜기가 13년 만에 라면 가격을 약 12% 인상하기로 함. 
2. 오뚜기의 라면값 인상이 신호탄이 되어, 타 기업들의 라면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전망됨.
3. 따라서 소비자 협회는 가격인상에 반발하는 상황임. 

다른 사람이 본 이야기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