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의 OTT 서비스 ‘디즈니 플러스’가 드디어 이번 달 12일 한국에 상륙했습니다. 12일 0시 디즈니 플러스 출시 직후 홈페이지 서버가 다운될 정도로 접속자들이 폭주했는데요. 그 이유는 디즈니 플러스에서 가지고 있는 콘텐츠 때문입니다. 디즈니, 픽사, 스타워즈, 마블까지 팬덤이 탄탄한 콘텐츠들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명 ‘덕후’들이 볼거리가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기존 디즈니 콘텐츠들은 OTT 서비스를 하지 않아 넷플릭스, 왓챠 등 서비스에서 볼 수가 없었습니다.
디즈니 플러스 멤버십
디즈니 플러스의 구독료는 월 9900원 연간 9만9000원이라는 단일 요금제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이용 가능한 OTT 서비스 중에서 제일 저렴한 가격입니다. 요금제에 따라 동시 접속 가능 수, 콘텐츠 저장 기기 수, 화질 등이 차등화된 넷플릭스와 달리 디즈니 플러스는 단일 요금제 정책으로 모든 조건이 동일합니다. 가족, 친구와 구독한다면 한 달에 2,4750원의 가격으로 1만 6000개의 콘텐츠를 즐길 수 있습니다.
1개의 아이디로 프로필은 7개까지 등록이 가능하며 동시 접속은 4명까지 가능합니다. 또한 노트북·TV·스마트폰·태블릭 PC 등 기기에서 재생을 지원합니다. 10개 기기까지 무제한으로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화질은 UHD를 지원하는 콘텐츠와 재생 가능한 기기가 있다면 UHD 콘텐츠를 즐길 수 있습니다.
디즈니 플러스 콘텐츠
디즈니 플러스의 구독료는 월 9900원 연간 9만9000원이라는 단일 요금제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이용 가능한 OTT 서비스 중에서 제일 저렴한 가격입니다. 요금제에 따라 동시 접속 가능 수, 콘텐츠 저장 기기 수, 화질 등이 차등화된 넷플릭스와 달리 디즈니 플러스는 단일 요금제 정책으로 모든 조건이 동일합니다. 가족, 친구와 구독한다면 한 달에 2,4750원의 가격으로 1만 6000개의 콘텐츠를 즐길 수 있습니다.
1개의 아이디로 프로필은 7개까지 등록이 가능하며 동시 접속은 4명까지 가능합니다. 또한 노트북·TV·스마트폰·태블릭 PC 등 기기에서 재생을 지원합니다. 10개 기기까지 무제한으로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화질은 UHD를 지원하는 콘텐츠와 재생 가능한 기기가 있다면 UHD 콘텐츠를 즐길 수 있습니다.
디즈니 플러스 콘텐츠
전 세계 디즈니 팬들의 기대를 한 몸에 있고 있는 서비스인데요. 모든 디즈니와 픽사의 작품들을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보기 힘들었던 고전 디즈니 영화,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단편 모음을 즐길 수 있습니다. <라이온킹>, <알라딘>, <주토피아>, <겨울왕국>, <니모를 찾아서> 등을 즐길 수 있습니다.
마블
디즈니플러스니가 흥행하고 있는 다른 이유는 마블 시리즈입니다. <아이언맨 1>부터 <어벤저스: 엔드게임>까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작품들은 물론 <블랙 위도우>, <샹치: 텐 링즈의 전설>, <로키>, <팔콘 앤 윈터솔져>, <완다비전> ,<호크아이>를 오직 디즈니 플러스에서만 즐길 수 있습니다. 마블 시리즈는 국내에 팬층이 탄탄하고 큰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심슨
1989년 처음 공개된 <심슨 가족>도 디즈니 플러스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700개가 넘는 심슨가족의 전 에피소드를 즐길 수 있습니다. 31개 시즌의 심슨가족, 극장판까지 볼거리가 풍부합니다.
<심슨 가족> 세계관에 디즈니 캐릭터가 출연하는 단편 애니메이션 ‘더 심슨 인 플러서버리’도 디즈니 플러스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심슨 가족>과 디즈니의 특별한 시청할 수 있습니다.
방대한 콘텐츠와 팬들의 높은 충성도를 가지고 있는 디즈니 플러스는 앞으로 더 큰 흥행을 불러일으킬 것 같습니다. 디즈니의 OTT 서비스는 과연 넷플릭스를 뛰어넘을 수 있을지 앞으로의 귀추가 기대됩니다.
1. 디즈니의 OTT 서비스 ‘디즈니 플러스’가 드디어 11월 12일 한국에 서비스를 런칭함.
2. 디즈니 플러스의 구독료는 월 9900원으로 국내에서 이용 가능한 OTT 서비스 중에서 제일 저렴
3. 디즈니, 픽사, 스타워즈, 마블까지 압도적인 자체 콘텐츠들을 보유하고 있음.
[배문화 ⓒ세줄요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 및 보도자료 3linemail@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