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연차휴가 최대 11일”
1년간 일하고 퇴직한 계약직 노동자에게 발생하는 연차휴가는 최대 11일이라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고용노동부는 1년 계약직 노동자에게도 연차휴가를 최대 26일 부여해야 한다고 근로기준법을 해석해왔지만, 대법원이 이를 뒤집었습니다.
현행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1년 미만 근로자가 한 달을 모두 출근하면 다음 달에 유급휴가 1일이 발생합니다. 1년간 11일입니다. 또 1년 중 80% 이상 근무하면 연차휴가 15일이 발생합니다. 정부는 1년 계약직도 만 1년 근무를 채우는 순간 15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한다고 해석했습니다. 연차휴가는 총 26일이 생기는 것입니다. 고용계약이 종료돼 근로자가 휴가를 쓸 수는 없지만 최대 26일 치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가 다음 해에도 근로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해 2년 차에 15일의 유급휴가를 줘야 한다는 취지로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1년만 근무한 후 퇴직한 근로자에게는 연차휴가 15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결국 1년만 근무하는 계약직의 경우 연차휴가는 최장 11일인 것입니다. 앞서 2심 재판에서 같은 취지의 판결이 내려졌고 이번에 대법원이 판결을 확정했습니다.
이번 판결에 따라 일부 사업장에서는 연차수당을 받은 퇴직자를 상대로 소송 등을 통해 반환을 요구하는 사례도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이번 판결은 1년 계약직으로 일하고 퇴직한 사람에게 해당된다”며 “퇴직자를 상대로 이미 지급된 수당의 반환을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하는 사례가 많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고용부는 판결 취지를 분석한 뒤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1. 고용노동부는 1년 계약직 노동자에게도 연차휴가를 최대 26일 부여해야 한다고 근로기준법을 해석해왔음.
2. 1년만 일하고 퇴직한 계약직 노동자에게 발생하는 연차휴가는 최대 11일이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옴.
3. 대법원은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가 다음 해에도 근로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해 2년 차에 15일의 유급휴가를 줘야 한다는 취지로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밝힘.
[배문화 ⓒ세줄요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 및 보도자료 3linemail@gmail.com ]